CHAPTER 2
내 집 마련을 위한 셀프 재무상태 진단법
✔️소비
소득으로 투자금 만들어 소유권 산다.
→ 인플레이션의 벽을 넘어야함.
시급이 중요
10-30대가 골든타임. (40세부터는 소득·지출 통제가 어렵기 때문)
SNS의 발달로 남과 비교하게됨
세후소득 파악하여 모아두되, 통장을 쪼개 돈의 이동 파악
→ 급여통장과 생활비통장 쪼개어 관리
→ '내계좌 한눈에' 서비스 활용.
✔️지출
SNS 탈퇴: 타인과 비교로 인한 감정동요 줄이기
필수적인지출만. 지출 줄이기
지출의 구분 : 주거비(대출이자,월세)/생필품비/의류비/외식비/여가비/개인용돈/통신비/보험료/경조사/저축 |
→ 제로 sum 지출의 양 고정.
→ 저축(50% 이상) 먼저하고 지출 5년만 실천해보기
→ 나의 미래가 궁금하면 직장 선배를 본다 (상당히 충격적..)
남과 다른길을 간다고 아침마다 다짐하자
✔️레버리지
지렛대 - 타인의 자본을 이용하여 자기 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 것
토지가격 , 자재가격, 규제 비용, 인건비 모두 상승하는데 주택지수가 하락할리 없다.
→ 매년 2% 물가상승. 5억 주택일 경우 매년 1000만원 상승.
→ 최근 20년 수도권아파트는 5% 상승. 5억 주택일 경우 매년 2500만원 상승.
→ 최근 20년 서울 아파트는 5.8% 상승. 5억 주택일 경우 매년 5800만원 상승.
→ 임금상승률을 장기 우하향
→ 내가 돈을 버는 속도보다 집값상승이 높으니 남의 돈으로 집을 사야함. 가격이 떨어질 리스크를 감수할만함
→ 집을 사면 집의 가격이 고정된 것.
(매매)이자를 저축액의 30%이내로 투자
저축액 2000 * 기준 30% = 600만원의 이자 감당 가능
이자 600 / 금리 3% = 대출 2억 감당 가능
(전세) 이자를 저축액의 15%이내로 투자
저축액 2000 * 전세대출기준 15% = 300만원의 이자 감당 가능
이자 300 / 금리 3% = 전세대출 1억 감당 가능
→하락기 대비용. 리스크 감당은 자율적으로 조절.
✔️소득지출대비표 / 주택구매능력표 작성
나의 소비상태 파악 및 저축률에 따른 주택구매능력 파악
아직까지는 여전히 마인드 셋팅인 너낌..
'경제스터디 > 강의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읽남 강의 후기(C5)_지역선정 실습 (0) | 2022.10.15 |
---|---|
부읽남 강의 후기(C4)_주택가격 결정의 요인 (0) | 2022.10.13 |
부읽남 강의 후기(C3)_부동산선택 (0) | 2022.10.07 |
부읽남 강의 후기(C1)_마인드 셋팅 (2) | 2022.10.02 |
클래스101 부읽남 강의 구독 시작! (0) | 2022.09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