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경제스터디/강의정리

부읽남 강의 후기(C2)_소비통제

반응형

CHAPTER 2

내 집 마련을 위한 셀프 재무상태 진단법

 

✔️소비

소득으로 투자금 만들어 소유권 산다.

인플레이션의 벽을 넘어야함.

시급이 중요

10-30대가 골든타임. (40세부터는 소득·지출 통제가 어렵기 때문)

SNS의 발달로 남과 비교하게됨

세후소득 파악하여 모아두되, 통장을 쪼개 돈의 이동 파악 

→ 급여통장과 생활비통장 쪼개어 관리

 '내계좌 한눈에' 서비스 활용.

 

✔️지출

SNS 탈퇴: 타인과 비교로 인한 감정동요 줄이기

필수적인지출만. 지출 줄이기

지출의 구분
: 주거비(대출이자,월세)/생필품비/의류비/외식비/여가비/개인용돈/통신비/보험료/경조사/저축

 제로 sum 지출의 양 고정.

 저축(50% 이상) 먼저하고 지출  5년만 실천해보기

 나의 미래가 궁금하면 직장 선배를 본다 (상당히 충격적..)

남과 다른길을 간다고 아침마다 다짐하자 

 

 

✔️레버리지

지렛대 - 타인의 자본을 이용하여 자기 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 것

토지가격 , 자재가격, 규제 비용, 인건비 모두 상승하는데 주택지수가 하락할리 없다.

→ 매년 2% 물가상승. 5억 주택일 경우 매년 1000만원 상승.

→ 최근 20년 수도권아파트는 5% 상승.  5억 주택일 경우 매년 2500만원 상승.

→ 최근 20년 서울 아파트는 5.8% 상승.  5억 주택일 경우 매년 5800만원 상승.

임금상승률을 장기 우하향 

→ 내가 돈을 버는 속도보다 집값상승이 높으니 남의 돈으로 집을 사야함. 가격이 떨어질 리스크를 감수할만함 

집을 사면 집의 가격이 고정된 것. 

 

(매매)이자를 저축액의 30%이내로 투자

저축액 2000 * 기준 30% = 600만원의 이자 감당 가능

이자 600 / 금리 3% = 대출 2억 감당 가능

 

(전세) 이자를 저축액의 15%이내로 투자

저축액 2000 * 전세대출기준 15% = 300만원의 이자 감당 가능

이자 300 / 금리 3% = 전세대출 1억 감당 가능

→하락기 대비용. 리스크 감당은 자율적으로 조절.

 

✔️소득지출대비표 / 주택구매능력표 작성

나의 소비상태 파악 및 저축률에 따른 주택구매능력 파악

 

 

아직까지는 여전히 마인드 셋팅인 너낌..

반응형